04. 단어장이 아니라 문장이다
4편: 단어장이 아니라 문장이다
내가 단어장을 한 번도 안 쓴 이유
저는 태어나서 단 한 번도 영어 단어장으로 공부한 적이 없습니다. 대신 롱맨(Longman) 영영사전과 실제 텍스트(논문, 블로그, 시험 문제)로만 공부했습니다. 단어장을 사 본 적은 있는데 하루 이상 쳐다보지 않았습니다. 지루하니까요. 여러분도 단어장 쳐다보고 있기 싫잖아요?
Play의 비극: 단어장이 만드는 재앙
이를테면 play를 “놀다”로 해석한 ESL(제 2외국어로서의 영어) 학습자가 다음과 같은 문장을 영작한다고 해봅시다.
음, 나 혼자 노는거 좋아해!
그래서 영작을 할때 이렇게 생각합니다. 논다는 단어는 뭐가 좋을까. play? 그럼 이렇게 쓰면 되겠다.
"Um, I want to play with myself!"
하지만 이렇게 쓰면… 변태로 몰릴 수 있습니다. 영어에서 ‘play with’는 성적인 뉘앙스를 담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단어장에는 이렇게 써있었을 겁니다:
play: 놀다, 연주하다, 경기하다
기술 문서에서는:
"play a role" - 역할을 하다
"play nice with" - 호환되다
"play around" - 실험해보다 (informal)
"play it safe" - 안전하게 하다
단어장에 적힌 단어는 죽은 단어입니다. 문맥이 없이 단어만 있으면 무슨 소용일까요? 특히 우리는 기술 분야에서만 영어를 볼 것이라고 생각하면 더더욱 그렇습니다.
문장으로 배워야 하는 진짜 이유
1. 컨텍스트가 의미를 결정한다
// "return"의 다양한 의미
return value; // 값을 반환하다
return early; // 일찍 종료하다
return to sender; // 발신자에게 되돌리다 (이건 프로그래밍 아님)
2. 콜로케이션(연어)를 자연스럽게 익힌다
단어장으로는 절대 못 배우는 것들:
- throw an exception (예외를 던지다) ✅
- throw an error (에러를 던지다) ✅
- throw a mistake ❌ (이런 표현 없음)
- make a request (요청을 만들다) ✅
- do a request ❌ (이런 표현 없음)
- perform a request (요청을 수행하다) ✅
3. 문법이 저절로 체득된다
문장을 통째로 읽으면:
"This function returns a promise that resolves when..."
- function은 단수니까 returns
- that 이하는 promise를 설명
- when은 시간 조건
이걸 문법책으로 배우면 3개월, 문장으로 읽으면 3초.
Etymology(어원)로 단어 뜻 유추하기
어원이 뭘까요? 한국어로 치면 우리는 나 어제 밥 먹었어. 라는 문장을 구사한다면 ‘먹었어’는 ‘먹다’의 변형이 됩니다. 이때 이 원형이 되는 ‘먹다’라는 단어가 어근이 됩니다.
영어도 마찬가지로 이런 어근이 있습니다. shocking(충격적인)
이라는 단어는 shock(충격)
+ -ing(형용사형 분사화 접사)
로 구성이 되죠. 영어단어는 이런 어근의 결합으로 많이 구성이 되기 때문에 자주 사용되는 몇몇 어근을 암기해두면 외워야 할 단어수가 많이 줄어듭니다.
co-work
, co-efficient
, co-porate
등 아하, co-
라는 어근은 함께한다는 뜻이니까 뭔가 함께하거나 상호작용이 있는거겠구나. 라고 의미를 부분적으로라도 생각해보고, 문맥 속에서 무슨 뜻인지 짐작이라도 해볼수 있으니, 실제로 당장 암기하지 않은 단어라도 깨우칠 가능성이 있는거죠.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단어들을 생각해봅시다:
Synchronous = syn + chron + ous
- syn: 함께 (synthesis, syndrome)
- chron: 시간 (chronology, chronic)
- ous: ~한 성질의 → “함께 시간을 맞춘” = 동기적
Asynchronous = a + syn + chron + ous
- a: 부정 (없음) → “시간을 맞추지 않은” = 비동기적
Initialize = init + ial + ize
- init: 시작 (initiate)
- ial: ~의
- ize: ~하게 만들다 → “시작 상태로 만들다” = 초기화하다
Deprecated = de + prec + ated
- de: 아래로, 반대로
- prec: 가치 (precious, price)
- ated: ~된 → “가치가 떨어진” = 더 이상 권장하지 않는
그럼 이런 어근 학습을 어떻게 하냐고요? 우선은 요즘은 구글도 단어 검색을 하면 etymology 분석을 기본적으로 해주니 단어마다 etymology 분석을 해봐도 좋고… 자주 사용하는 etymology 자체는 외우면 좋은건 사실입니다.
제가 단어장은 사지 마라고 했지만 어근, 어원 단어장에 대해서는 좀 예외를 두고 싶습니다. 수능용 어근/어원 단어장은 많으니 직접 추천하긴 어렵지만 검색해보면 많이 나올거에요.
실전 학습법: 모르는 단어 관리
- 단어장 구매 ❌
- 실제 문장에서 발견한 단어만 ✅
나만의 플래시카드 만들기:
앞면:
"The function throws an exception when the input is invalid"
뒷면:
throws: (예외를) 발생시키다
exception: 예외 (정상적이지 않은 상황)
invalid: 유효하지 않은
왜 문장째로 저장하나?
- 단어가 쓰이는 맥락을 기억
- 문법 구조도 함께 익힘
- 실제 사용 예시를 체득
추천 학습 자료 (2025년 기준)
사전
- Longman Dictionary of Contemporary English: 간단한 영어로 설명
- Cambridge Dictionary: 프로그래밍 용어 설명 good
- MDN Glossary: 웹 개발 용어 전문
읽을거리 (난이도 순)
- GitHub README 파일들: 짧고 명확
- 공식 문서의 Getting Started: 초보자 대상이라 쉬움
- Stack Overflow accepted answers: 실용적인 영어
- Tech 블로그 (Medium, Dev.to): 구어체 섞인 기술 영어
- RFC 문서: 고급자용, 정확한 기술 영어
피해야 할 자료
- TOEIC/TOEFL 단어장
- 일반 영어 회화책
- 비즈니스 영어 교재
- 옛날 프로그래밍 책의 번역서
문장 패턴 20선 (외우지 말고 익숙해지기)
1. X is used to Y
2. X is designed for Y
3. X returns Y
4. X throws Y when Z
5. If X, then Y
6. X must be Y before Z
7. X can be Y or Z
8. X should not be null
9. This allows X to Y
10. X is responsible for Y
11. X depends on Y
12. X is required for Y
13. Make sure X before Y
14. X happens when Y
15. X prevents Y from Z
16. Either X or Y
17. X is called when Y
18. X is triggered by Y
19. By default, X
20. X is expected to Y
이 패턴들을 단어장처럼 외우는 게 아니라, 문서 읽으면서 “아 또 이 패턴이네” 하고 인식하는 겁니다.
실제 적용 예시
React 문서의 한 문장:
"This Hook returns a stateful value and a function to update it."
단어장식 해석: “이 갈고리는 상태가 있는 값과 그것을 업데이트하는 함수를 반환한다” → 갈고리? 상태가 있는 값?
문장 학습식 이해: “이 Hook은 상태값과 그것을 업데이트하는 함수를 반환한다” → Hook은 그냥 Hook, stateful은 상태를 가진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마무리: 영어는 도구다
개발할 때 변수명 지을 때도 우리는 이미 영어를 씁니다:
getUserById()
handleClickEvent()
isValidEmail()
이것도 문장입니다. 우리는 이미 영어 문장을 만들고 있어요.
기술 영어도 똑같습니다. 문장을 읽으세요. 패턴을 익히세요. 단어장은 버리세요.
다음 편 예고
이제 이론은 충분합니다. 5편에서는 실전 연습법을 다룹니다:
- 매일 15분 투자로 3개월 안에 문서 읽기
- PR 리뷰 코멘트 쓰는 법
- 기술 블로그 포스트 읽는 순서
- ChatGPT/Claude를 영어 학습 도구로 활용하기
“아는 것”과 “할 수 있는 것”의 간극을 메우는 마스터플랜, 곧 공개합니다.
⬅ 이전: 3편 영어가 아니라 기술 영어다 | 다음: 5편 마스터플랜 - 실전에서 살아남기 ➡ |